일차함수의 뜻, 일차함수의 그래프(평행이동)
중학교 1학년 때 일차식에 대해서 배웠어요. 예를 들어 3x, 2x-1, -5x+6 을 x에 관한 일차식이라고 하죠. 즉 ax+b ( a, b는 상수, a≠0 ) 으로 나타낼 수 있는 식을 일차식이라고 했어요. [이전 글 보기/중1수학] - 다항식과 관련된 용어 (항, 상수항, 계수, 차수, 일차식) 일차함수의 뜻 일차함수는 쉽게 얘기해서 함수 y=f(x)에서 f(x)가 x에 관한 일차식인 경우를 의미해요. 즉 y=ax+b( a, b는 상수, a≠0 ) 와 같이 나타내어질 때, 이 함수를 x에 관한 일차함수라고 정의합니다. 예를 들어 y=3x , y=2x-1 , y= -5x+6 은 y=(일차식) 이므로 일차함수라고 할 수 있겠죠? 예 1) y=$x^2$+1 $x^2$+1은 이차식이므로 y=$x^2$+1은..
2021. 7. 9.
정다면체가 5개뿐인 이유(증명 포함)
다면체는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 )인 면으로만 둘러싸인 입체도형을 의미해요. 또한 다각형에서 선분의 개수에 따라 다각형의 이름이 결정된 것처럼 다면체에서는 면의 개수에 따라 다면체의 이름이 결정돼요. 예) 선분의 개수가 4개인 다각형은 사각형. 면의 개수가 4개인 다면체는 사면체. 다면체 중에서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 )이고,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가 같은 다면체를 정다면체라고 합니다. 정다면체의 종류가 5개뿐인 이유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할게요. 정다면체가 5개뿐인 이유 면의 모양이 (1) 정삼각형, (2) 정사각형, (3) 정오각형, ··· 인 경우로 나눠서 정다면체를 분류해보도록 할게요. 우선 정다면체의 가장 기본이 되는 조건부터 ..
2021. 4. 14.
중심각과 호의 길이, 부채꼴의 넓이, 현의 길이 사이의 관계
한 원 또는 반지름이 같은 원(합동인 원)에서 중심각의 크기가 같은 경우와 중심각의 크기가 2배, 3배, ··· 변할 때, 중심각과 호의 길이, 부채꼴의 넓이, 현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해요. 중심각의 크기가 같은 경우 두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을 때, 한쪽의 부채꼴을 회전시키면 서로 포개어질 수밖에 없어요. 따라서 두 부채꼴은 합동이 되며, 합동인 두 도형은 길이와 넓이가 같기 때문에 두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는 같습니다. 현의 길이에 대해 생각해보면, 두 반지름과 현으로 둘러싸인 삼각형 OAB와 삼각형 OCD에 대해 $\overline{OA}=\overline{OC}$ (반지름) $\overline{OB}=\overline{OD}$ (반지름) $\angle{AOB}=\an..
2021.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