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1수학/평면도형, 입체도형8

정다면체가 5개뿐인 이유(증명 포함) 다면체는 다각형(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 )인 면으로만 둘러싸인 입체도형을 의미해요. 또한 다각형에서 선분의 개수에 따라 다각형의 이름이 결정된 것처럼 다면체에서는 면의 개수에 따라 다면체의 이름이 결정돼요. 예) 선분의 개수가 4개인 다각형은 사각형. 면의 개수가 4개인 다면체는 사면체. 다면체 중에서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오각형, ··· )이고,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가 같은 다면체를 정다면체라고 합니다. 정다면체의 종류가 5개뿐인 이유에 대해 설명해보도록 할게요. 정다면체가 5개뿐인 이유 면의 모양이 (1) 정삼각형, (2) 정사각형, (3) 정오각형, ··· 인 경우로 나눠서 정다면체를 분류해보도록 할게요. 우선 정다면체의 가장 기본이 되는 조건부터 .. 2021. 4. 14.
원주율, 원의 둘레, 원의 넓이, 호의 길이, 부채꼴의 넓이 (공식) 위의 그림에서처럼 원의 크기에 관계없이 원의 둘레는 지름보다 약 3배 정도 큽니다. 초등학교 때는 약 3.14배 정도 크다고 해서 원의 둘레=지름×3.14 라고 배웠었죠. 정확히는 원의 둘레는 원의 지름의 3.141592··· 배이며, 3.141592··· 를 원주율이라고 하고 기호로는 $\pi$, 읽을 때는 파이라고 합니다. 원의 둘레=지름×원주율 즉 원의 지름의 길이에 대한 원의 둘레의 길이(원주)의 비율을 원주율($\pi$)이라고 합니다. 초등학교 때 배운 원주와 원의 넓이를 구하는 공식을 기호로 표현해보도록 해요. 원의 반지름을 r이라고 할 때, 원주=2×반지름×3.14 (초등) 원주=2×r×$\pi$ =2$\pi$r (공식 ①) 원의 넓이=반지름×반지름 ×3.14 (초등) 원의 넓이=r×r×$\.. 2021. 1. 10.
중심각과 호의 길이, 부채꼴의 넓이, 현의 길이 사이의 관계 한 원 또는 반지름이 같은 원(합동인 원)에서 중심각의 크기가 같은 경우와 중심각의 크기가 2배, 3배, ··· 변할 때, 중심각과 호의 길이, 부채꼴의 넓이, 현의 길이 사이의 관계에 대해 정리해 보도록 해요. 중심각의 크기가 같은 경우 두 부채꼴의 중심각의 크기가 같을 때, 한쪽의 부채꼴을 회전시키면 서로 포개어질 수밖에 없어요. 따라서 두 부채꼴은 합동이 되며, 합동인 두 도형은 길이와 넓이가 같기 때문에 두 부채꼴의 호의 길이와 넓이는 같습니다. 현의 길이에 대해 생각해보면, 두 반지름과 현으로 둘러싸인 삼각형 OAB와 삼각형 OCD에 대해 $\overline{OA}=\overline{OC}$ (반지름) $\overline{OB}=\overline{OD}$ (반지름) $\angle{AOB}=\an.. 2021. 1. 3.
원, 호, 현, 할선, 부채꼴, 중심각, 활꼴의 뜻 초등학교 때 종이에 컴퍼스의 침을 고정하고 일정한 거리만큼 컴퍼스를 벌려 한 바뀌 돌리는 활동을 통해 원을 그려봤어요. 위의 활동에서 원의 의미를 생각해보면, 종이를 평면, 컴퍼스의 침을 한 점, 컴퍼스가 지나간 자취는 선이 되며 선은 모든 점이 모여서 이루어졌으므로 평면 위의 한 점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있는 모든 점으로 이루어진 도형을 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호, 현, 할선의 뜻 호는 원의 둘레의 일부분이에요. 원 위의 두 점을 잡고 두 점을 자른다고 생각하면 원은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죠? 이 두 부분을 각각 호라고 합니다. 위의 그림에서 두 점 A, B에 대하여 길이가 짧은 쪽을 호 AB라고 하며, 길이가 긴 쪽은 그 호 위의 한 점 C를 잡아 호 ACB라고 합니다. 현은 원 위의 두 점을 이은.. 2020. 12. 9.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이 360도인 이유 다각형의 외각의 크기의 합이 360˚ 임을 다각형의 내각의 합을 구하는 공식과 평각(180˚)을 이용하여 증명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오각형의 한 꼭지점에서 내각과 외각의 크기의 합은 180˚ 이고, 꼭짓점은 5개 있으므로 (a+f)+(b+g)+(c+h)+(d+i)+(e+j)=180˚+180˚+180˚+180˚+180˚ (a+b+c+d+e)+(f+g+h+i+j)=180˚+180˚+180˚+180˚+180˚ (내각의 크기의 합)+(외각의 크기의 합)=180˚×5 입니다. 즉, (외각의 크기의 합)=180˚×5-(내각의 크기의 합) 이며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이 180˚×(5-2) 이므로 이를 위의 식에 대입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이전 글 보기] - 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구하는 방법(공식) (외.. 2020. 12. 2.
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 구하는 방법(공식) 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과 정다각형의 한 내각의 크기를 구하는 공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다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다각형을 삼각형으로 나누어 삼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이 180˚인 것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어요. [이전 글 보기]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인 이유(증명) 공식을 유도하기 위해 다각형의 한 꼭짓점에서 대각선을 그어 삼각형을 나누어 보도록 할게요. 1) 사각형 사각형은 꼭짓점의 개수는 4개,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1개, 나누어지는 삼각형은 2개이므로 사각형의 내각의 크기의 합은 180˚×2=360˚ 입니다. 2) 오각형 오각형은 꼭짓점의 개수는 5개,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는 2개, 나누어지는 삼각형은 3개이므로 오각형의 내각의 크기.. 2020. 11. 26.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인 이유(증명) 초등학교 때 삼각형 모양의 색종이를 이용하여 삼각형의 세 내각의 크기의 합이 180도인 것을 배웠어요. 즉 아래의 그림에서처럼 삼각형의 세 각의 꼭짓점이 한 점에서 만나도록 이어 붙여보는 활동을 통해 확인했었습니다. 이제 좀 더 엄밀한 방법으로 증명을 통해 알아보도록 해요. 첫 번째 방법 (동위각, 엇각 이용) ① 보조선 긋기. 위의 그림에서처럼 변 BC의 연장선을 그은 후 그 위의 한 점을 D라 놓고, 점 C에서 변 AB와 평행한 반직선을 긋고 그 위의 한 점을 E라 놓습니다. ② 두 직선이 평행할 때 동위각의 크기는 같다는 성질을 적용하기. 두 직선이 평행할 때 엇각의 크기는 같다는 성질을 적용하기. [이전글보기] - 평행선의 성질 (동위각, 엇각) ∠B와 ∠ECD는 동위각(△)이므로 같고, ∠A와 .. 2020. 11. 3.
다각형의 대각선 개수 구하는 방법(공식) 다각형이란, 3개 이상의 선분으로 둘러싸인 평면도형을 의미해요.예를 들어 삼각형(선분 3개), 사각형(선분 4개), 오각형(선분 5개), 육각형(선분 6개) 등을 다각형이라고 합니다. 또한 다각형에서 이웃하지 않은 두 꼭짓점을 이은 선분을 대각선이라고 합니다.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 다각형의 대각선 개수를 구하기 전에 한 꼭짓점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1) 삼각형삼각형에서 이웃하지 않은 두 꼭지점은 없기 때문에 대각선은 존재하지 않아요. (2) 사각형꼭짓점 A에서 그을 수 있는 대각선의 개수를 살펴보도록 해요. 대각선은 이웃하지 않은 꼭짓점과 꼭짓점을 이은 선분이기 때문에A와 이웃하지 않은 꼭짓점을 찾으면 되겠죠? 자기 자신인 A와 양옆의 꼭짓점 B.. 2020. 10. 19.